■ 진행 : 이광연 앵커 <br />■ 출연 : 정대진 아주대 통일연구소 교수 <br /> <br /> <br />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져 있는 지금 우리 정부가 어제와 오늘 이틀간 제주산 귤 200톤을 북한에 보냈습니다. 시기가 시기인 만큼 다양한 해석들이 나오고 있는데요. 정대진 아주대 통일연구소 교수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 <br />10kg들이 2만 상자 200톤이 북측으로 갔습니다. 네 번 정도 나누어서 갔는데 북한에 답례를 보냈다는 것 이례적이라고 하더라고요.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그렇죠. 그동안 답례를 보낸 적이 없는 걸로 알려져 있는데요. 이번에 송이버섯도 오고 그리고 풍산개도 선물받아왔는데요. 이번 시점에 지금 귤이 제철이라고 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답례를 이례적으로 보낸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북한 주민들이 평소 맛보기 어려운 과일이다, 이렇게 청와대는 설명하고 있는데 아무래도 제주도 귤을 맛보기 어렵겠죠? 물리적인 이유겠죠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물리적으로 귤이 어쨌든 남쪽에서 나는 과일이다보니까 물리적으로 어려운 게 있고요. 또 귤이라고 하는 게 상징성이 있죠. 지난번에 예전에 지자체들 간 남북교류 협력을 할 때 제주도가 아주 선제적으로 1999년부터 2010년까지 귤을 북한에 보내는 사업을 계속해왔습니다. 지금보다 더 많은 양을 매해 보내왔는데 2010년도 이후에 중단됐던 것이 이번에 정부가 보내면서 재개된 것이죠. 그 당시의 지자체의 교류 사업은 아니고 정부가 보내는 것이기는 하지만 어쨌든 귤이라고 하는 상징적인 과일이 북한에 가서 북한 주민들에게 전해질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북한 주민들에게 잘 전달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고 이 시기에 왜 답례품을 보냈는지가 사실 관심사항 아니겠습니까. 북미 대화가 교착상태에 있는 만큼 아무래도 남북관계 진전으로 타개하겠다는 이런 의미가 담겨 있는 걸까요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맞습니다. 단순히 귤만 보내면 되는데 같이 통일부 차관이 직접 청와대 통일비서관과 북한을 방문했죠. 그러면서 남북관계를 통해서 어쨌든 여러 가지 교착 국면인데 그 교착 국면들을 좀 풀어나가기 위한 북한과의 협의 채널을 물밑조율을 하기 위해서 직접 통일부 차관이 발걸음을 한 게 아닌가 보여집니다. <br /> <br /> <br />물론 송이버섯에 대한 답례품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마는 이 부분에 대한 의문도 있더라고요. 혹시나 유엔 대북 제재 관련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1112183303404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